State Tax Treatment of PPP Loan Forgiveness (Korean version)

PPP 대출은 COVID-19 기간동안 중소기업과 일부 비영리단체가 급여를 유지하도록 지원하기 위해 CARES Act 의 일부로 만들어졌다. 일반적으로 고용주가 COVID-19 이전과 비슷한 급여 수준으로 직원을 유지하는 경우 PPP 대출은 탕감이 가능하다. 탕감되지 않는 PPP 대출의 경우 대출 만기는 일반적으로 5년이고 이자율을 1% 이다.

연방 정부 소득세 신고시, 탕감된 PPP 대출은 과세 소득으로 간주되지 않으며, PPP 대출금으로 지불된 비용은 공제 대상이다. 주 정부 소득세의 경우, 대부분의 주에서는 연방 정부를 따라 탕감된 PPP 대출을 과세 소득에서 제외하고 관련 비용에 대한 공제를 허용한다. 하지만, 일부 주에서는 PPP 대출 탕감과 비용 공제를 다르게 취급할 수 있다. 아래 차트는 PPP 대출 탕감 및 관련 비용에 대한 각 주의 조세 처리 방법을 보여준다. (클릭하여 확대)
ppp11
PPP 대출 탕감 관련 주 정부 세금의 영향과 CARES Act 에 대한 각 주의 대응을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State Tax Treatment of PPP Loan Forgiveness

The PPP was created as part of the CARES Act to assist small businesses and eligible nonprofits in maintaining their payroll during the COVID-19 pandemic. Generally, the PPP loan is fully forgivable if employers retain employees at salary levels comparable to those before the pandemic. If there is any remaining non-forgivable PPP loan, the loan generally has a maturity of 5 years and a 1% interest rate.

For the federal purposes, forgiven PPP loans will not count as taxable income, and the expenses paid for by the PPP proceeds are deductible. However, it is not as straightforward for individual states. Many states will exclude forgiven PPP loans from taxable income and allow a deduction for related expenses, following the federal treatment. However, some states may treat the forgiveness and expense deduction differently. The chart below shows each state’s tax treatment of PPP loan forgiveness and related expenses. (Click to enlarge)
ppp11
It is important to carefully assess the state tax effects of PPP loan forgiveness and closely review the state’s response to the CARES Act.

리스회계 업데이트 – 비상장기업 할인율

리스이용자는 ASC 842에 따라 리스의 내재이자율을 할인율로 사용하여야 한다. 리스의 내재이자율이란 리스제공자가 리스이용자에게 부과하는 이자율로 정의 된다. 리스의 내재이자율을 쉽게 산정할 수 없는 경우에, 비상장 기업들은 증분차입이자율 (incremental borrowing rate) 혹은 무위험이자율(risk-free rate)을 사용 할 수 있다. 증분차입이자율은 리스이용자가 비슷한 경제적 환경에서 비슷한 기간에 걸쳐 비슷한 담보로 사용권자산과 가치가 비슷한 자산 획득에 필요한 자금을 차입할 경우 지급해야 하는 이자율로 정의된다. 현재 기준에 따르면, 무위험이자율을 할인율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모든 리스들에 이와 같은 할인율이 적용되어야 한다.

미국 재무회계 기준위원회(FASB)가 최근 비상장기업에 대한 관련 회계기준 업데이트를 발의하였다. 이 회계기준이 적용되게 되면, 비상장 기업은 전반적인 리스가 아닌, 리스자산의 종류에 따라 무위험이자율을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회계기준은 리스의 내제이자율이 쉽게 결정 될 수 있는 경우에는 무위험이자율이나 증분차입이자율의 선택여부와 상관없이 해당 내제이자율을 사용할것을 요구하고있다.

일반적으로, 무위험 이자율은 낮은 할인율을 의미하게 되며, 이에 따라 사용권 자산과 리스부채가 커질것으로 예상된다.

자세한 내용은 밑에 Proposed ASU 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https://fasb.org/jsp/FASB/Document_C/DocumentPage?cid=1176176792230&acceptedDisclaimer=true

Lease Accounting Update – Discount Rate

Under ASC 842, lessees are required to use the rate implicit in the lease as the discount rate. The rate implicit in the lease is the interest rate the lessor is charging the lessee. It is referred to as the implicit rate because it is not usually specified, or explicit, in the lease agreement and must be inferred by the lessee based on additional information. When the implicit rate is not readily available, private companies are allowed to make an election to use a risk-free rate (rather than the incremental borrowing rate) as the discount rate for measuring the lease liability and the right-of-use asset. Currently, the standard requires this election to be made at the entity-wide level for the entire lease portfolio (and all leases within it).

The Financial Accounting Standards Board ("FASB") proposed an accounting standard update ("ASU") regarding this election for nonpublic business entities.  The proposal would permit lessees to elect to use a risk-free rate as the discount rate for leases by class of underlying asset, rather than at the entity-wide level.

The proposal also would require that when the rate implicit in any lease is readily determinable for any individual lease, a lessee would use that rate (rather than a risk-free rate or an incremental borrowing rate) regardless of whether it has made the risk-free rate election.

Generally speaking, using risk-free rate would mean less discount and therefore large ROU asset and lease liability.

For details, please see the proposed ASU below:

https://fasb.org/jsp/FASB/Document_C/DocumentPage?cid=1176176792230&acceptedDisclaimer=true